![]() |
월간 인기 글 |
![]() |
|
![]() |
기사 | 기사제보하기 |
![]() |
Monthly Product HOT&NEW |
![]() ![]() |
|
기사>제품|기타|2016.10.24|2016년 10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10월, 이달의 신제품과 인기제품은? |
![]() |
Product Review |
![]() ![]() |
|
기사>제품|기타|2016.10.24|2015년 11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![]() |
정밀 가공을 위한 빠르고 정확한 위치 선정 |
![]() ![]() |
|
기사>기술,제품|기타|2016.07.04|2016년 7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엔코더는 회전 각도나 이동량 등의 아날로그 값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로, 소형 모터에서부터 자동차의 크랭크축까지 다양한 장비에 활용된다. 특히 정밀도 높은 금속 가공을 위해서는 빠르고 정확하게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엔코더가 필수적이다. 새로 출시된 하이덴하인의 앱솔루트 리니어 엔코더... |
![]() |
SCHUNK의 롱다리 팔방미인을 소개합니다 |
![]() ![]() |
|
기사>제품|기타|2015.08.03|2015년 8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‘어느 모로 보나 아름다운 미인(美人)’을 뜻하는 팔방미인을 떠올려보자. 시원시원하게 쭉 뻗은 롱다리로 늘씬한 각선미를 자랑하는 아름다운 여인이 생각난다. 여기 SCHUNK에는 늘씬한 롱다리를 자랑하며 ‘여러 방면의 일에 능통(能通)한’또 다른 의미의 팔방미인이 있다. 다재다능한 특성으로 사... |
제품 | |
![]() |
MICRO PUSH BUTTON SWITCH |
![]() ![]() |
|
제품|(주)한국전재|기타|2011.12.06|2011년 12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아연 다이캐스팅으로 충격에 강함PANEL HOLE 22Φ,25Φ 선택PANEL SWITCH 돌출 부분 2mm이하접점 허용 전류 220V 3A시험장비, 계측기, 자동화기기 등에 사용 |
![]() |
SURGE PROTECTOR |
![]() ![]() |
|
제품|(주)한국전재|기타|2011.12.06|2011년 12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특 징 콤팩트(Commpact) 한 형태로 서지(Surge) 내량(耐量)이 큽니다. 분전함 등에 직접 설치 가능합니다. 급준(急峻) 한 서지에 대해서 동작 지연이 없는 응답성이 우수하다. 확실한 보호효과를 얻기 위해 제한전압이 낮다. 과전(課電) 수명은 정격을 초과... |
![]() |
산업용 Switch,Relay,Electrical Components 분야 Leading So... |
![]() ![]() |
|
제품|(주)금산엠엔이|기타|2011.12.06|2011년 12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Cam Switch, Pressure & Temperature Switch,철도 차량용 특수 Relay,Terminal Block, Push Buiton,Pliot Light 등 선진 기술이 접못된 다양한 제품들을 수입/제조/공급함으로써 귀사의 국제 경쟁력 재고에 일조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... |
![]() |
머시닝센터,CNC선반,로봇,반도체LCD 등 건축분야까지 범위 다양한 LM시스템 |
![]() ![]() |
|
제품|삼익THK(주)|기타|2011.12.06|2011년 12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LM시스템 특징서큘러아크 접촉구조로 취부면의 오차를 흡수하여 부드러운 운동이 가능하며, 예압을 걸어도 구름저항의 증가가 없으며, 고강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. 특히, 미끄럼 안내에 비하여 마찰계수가 작고, 로스트모션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위치결정 정도가 아주 높은 제품입니다. |
뉴스 | |
![]() |
유도가열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1200V IGBT |
![]() ![]() |
|
뉴스|기타|2011.10.28|HTML 보기 | |||
인터내셔널 렉티파이어는 용접 및 고전력 정류 등과 같은 유도가열 및 공진형 스위칭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IGBT(Trench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) 2종을 출시했다. 신형 1200V IGBT는 IR의 검증된 ... |
![]() |
TI, 보드 부품 수 감소 및 BOM 비용 절감을 위한 클럭 발생기 출시 |
![]() ![]() |
|
뉴스|기타|2011.10.11|HTML 보기 | |||
TI코리아(www.ti.com/ww/kr)는 지난 10월 6일 업계 최고의 지터 성능을 구현하는 고집적 클럭 발생기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. TI 새로운 클럭 발생기 LMK03806는 설계자들이 하나의 저비용 크리스털... |
![]() |
오스트리아마이크로시스템즈, 132개 LED 구동의 고효율, 소형 드라이버 출시 |
![]() ![]() |
|
뉴스|기타|2011.10.11|HTML 보기 | |||
고성능 아날로그 IC의 선도적인 글로벌 제조 및 설계 업체인 오스트리아마이크로 시스템즈 (지사장: 양창수)가 업계 최고효율의 초소형 도트 매트릭스 LED 드라이버 (채널 vs. PCB 공간)인 AS1130을 발표했다. AS1130 드라이버는 132개의 LED를 구동하면서도 단 5 mm... |
![]() |
글로벌인포메이션, 2011 TOP 100 커넥터 제조업체 보고서 소개 |
![]() ![]() |
|
뉴스|기타|2011.08.31|HTML 보기 | |||
(주)글로벌인포메이션은 Bishop & Associates, Inc. 사에서 발행한 “2011 TOP 100 커넥터 제조업체” )를 소개한다. 2011년 2분기 세계 커넥터 매출이 작년 1분기 대비 10% 증가한 12,051,000달러를 기록했다. 또한 2011년 전체 상반기 커넥터 ... |
리포트 | |
![]() |
기계류 및 부품기술개발 능력의 극대화 방안 |
![]() ![]() |
|
기사>기술|기타|1987.10.01|1987년 10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기계류 및 부품기술의 문제점조사와 국산화 심포지움을 통하여서도 명백히 알 수 있듯이 국내 기술수준의 낙후와 부품공업의 취약은 기계류 및 부품의 국산화를 저해하고 국산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이지 못하여 국제경쟁력을 뒤지게 하고 있으 며, 따라서 기계류의 무역수지적자, 특히 대일무역 역조현상이 ... |
특허 | |
![]() |
나사 체결시 조립불량 방지구조를 갖는 체결나사 |
![]() ![]() |
|
기사>기업&기관,기술,동향|기타|2010.03.01|2010년 3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본 발명은 나사 체결시 조립불량 방지구조를 갖는 체결나사에 관한 것으로서, 체결나사는 나사가 형성되는 최초부분 즉, 불완전 나사부를 형성함에 있어, 체결대상물인 암나사에 체결나사를 리드각의 경사 기울기로 진입시킬 때 암나사의 나사산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의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, 최초... |
![]() |
부품의 위치결정용 핀 및 부시 체결구조 |
![]() ![]() |
|
기사>기술|기타|2007.07.01|2007년 7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본 발명은 부품의 위치결정 기능 뿐만 아니라 부품의 클램핑 기능도 겸비함으로써 부품을 고정하는 클램프의 갯수를 최소화하여 부품의 가공시에 간섭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의 위치결정용 핀 및 부시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. |
![]() |
감속장치와 집진식 샌더기 |
![]() ![]() |
|
기사>기술|기타|1998.01.01|1998년 1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개인 및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아직 사업화가 되지 않은 특허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한 권리양수, 실시권 허여, 합작투자 등을 원하는 투자자 및 자본주들은 발명진흥회 특허기술사업화알선센터로 연락하면 발명(고안)의 상세한 내용은 물론 최종 계약에 이르기까지 무료로 협조를 받을 수 있다. |
![]() |
이달의 발명품 |
![]() ![]() |
|
기사>기술,제품|기타|1987.08.01|1987년 8월호|잡지 보기, HTML 보기 | |||
자동차에 있어서 엔진은 그 차량의 성능올 좌우하는 기본요소이며 주행성능 외에도 연료소모, 안락성 및 쾌적성, 배기가스 방출 등에 대한 변화를 일으키는 자동차의 가장 중요한 핵심 부분이다. |